티스토리 뷰

개요

  • 트랜잭션 관리데이터베이스 작업 시 여러 연산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 처리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개념
  • Spring 프레임워크에서는 @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통해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를 제공하며, 이를 활용하면 코드의 간결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음


@Transactional의 역할 및 주요 기능

역할

데이터 무결성 보장

  • 비즈니스 로직 수행 중 예외 발생 시 전체 작업을 롤백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

원자성 보장

  • 여러 작업을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어, 모두 성공해야만 최종 커밋되도록 함

주요 기능

자동 커밋 및 롤백

  • 정상 실행 시 변경사항을 커밋하고, 오류 발생 시 자동으로 롤백

전파(Propagation) 설정

  • 트랜잭션 간의 상호 작용 방식을 정의하며, 기존 트랜잭션을 이어받거나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음

격리(Isolation) 수준 관리

  • 동시 접근 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 수준을 조정

구현 예시

@Service
public class TransactionExampleService {

    @Autowired
    private SomeRepository someRepository;

    @Transactional
    public void executeBusinessLogic(Long id, BigDecimal value) {
        // 엔티티 조회 및 업데이트
        SomeEntity entity = someRepository.findById(id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.orElseThrow(() -> new RuntimeException("Entity not found"));
        entity.updateValue(value);
        someRepository.save(entity);

        // 추가 비즈니스 로직 실행 중 조건에 따른 예외 발생
        if (value.compareTo(BigDecimal.ZERO) < 0) {
          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("Invalid value");
        }
    }
}

장점

데이터 일관성 유지

  • 트랜잭션 내 모든 작업이 성공해야만 데이터 변경이 확정되어, 실패 시 전체 롤백 처리

코드 단순화

  •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를 통해 복잡한 트랜잭션 처리를 단순하고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음

유지보수성 향상

  • 전파 및 격리 설정을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게 트랜잭션 동작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음

고려사항

트랜잭션 범위 설정

  • 너무 넓은 범위로 트랜잭션을 적용하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꼭 필요한 부분에만 적용해야 함

예외 처리 규칙

  • 기본적으로 런타임(언체크) 예외 발생 시 롤백되지만, 체크 예외에 대해서는 별도의 롤백 정책을 설정해야 함

면접 대비 질문

더보기

기초 질문

Q1. @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의 기본 역할은 무엇인가요?

모범 답안
@Transactional은 메서드 실행 시 트랜잭션을 시작하고, 정상 종료 시 커밋하며, 예외 발생 시 롤백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합니다.


Q2. 트랜잭션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요?

모범 답안
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여러 작업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 처리하는 개념으로, 원자성, 일관성, 격리성, 지속성을 보장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.


심화 질문

Q1. 전파(Propagation) 속성과 격리(Isolation) 수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세요.

모범 답안
전파 속성은 트랜잭션이 다른 트랜잭션과 어떻게 상호 작용할지를 정의하며, 기존 트랜잭션을 이어받거나 새 트랜잭션을 생성합니다. 반면 격리 수준은 동시에 여러 트랜잭션이 접근할 때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한 트랜잭션이 다른 트랜잭션의 변경사항을 볼 수 있는 범위를 제어합니다.


Q2. @Transactional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예외 처리 규칙은 무엇인가요?

모범 답안
기본적으로 언체크 예외 발생 시 롤백되지만, 체크 예외의 경우 별도의 롤백 정책을 지정해야 합니다. 또한, 내부에서 예외를 catch하여 트랜잭션 관리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상황을 주의해야 합니다.


압박 질문

Q1.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랜잭션 관리로 인한 성능 이슈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?

모범 답안
트랜잭션 범위를 최소화하고 꼭 필요한 부분에만 적용하며, 적절한 전파 및 격리 설정을 통해 동시성 문제를 해결합니다. 또한, 배치 처리나 분산 트랜잭션 관리 기법을 도입하여 성능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.


Q2. @Transactional이 적용된 메서드에서 예외가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트랜잭션이 롤백되는 경우, 어떤 원인이 있을 수 있나요?

모범 답안
내부에서 예외를 catch하여 트랜잭션 관리자에게 전달되지 않거나, 롤백 조건에 맞는 특정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때는 롤백 정책 및 예외 처리 흐름을 재검토해야 합니다.
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Spring] AOP(Aspect Oriented Programming)  (0) 2025.02.26
[Spring] H2 Database & Spring Boot DevTools  (0) 2025.02.25
[Spring] JPA  (0) 2025.02.24
[Spring] MyBatis  (0) 2025.02.24
[Spring] JDBC Template  (0) 2025.02.2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